목차
1. 개요
2. 활동 내역
2.1. 스트롱 콘서트
2.2. 자연탐사
2.3. R&E발표회
3. 수상 실적
4. 첨단 기자재
4.1. 초고속 카메라
4.2. 모션캡쳐
4.3. 물성시험기
4.4. 레이저 커터
4.5. CNC 밀링머신
4.6. 3D 프린터
5. 여담
1. 개요
2. 활동 내역
2.1. 스트롱 콘서트
2.2. 자연탐사
2.3. R&E발표회
3. 수상 실적
4. 첨단 기자재
4.1. 초고속 카메라
4.2. 모션캡쳐
4.3. 물성시험기
4.4. 레이저 커터
4.5. CNC 밀링머신
4.6. 3D 프린터
5. 여담
1. 개요 ✎ ⊖
경북과학교등학교의 물리 동아리이다. 20세기 물리학자 막스 플랑크(Max Planck)의 이름을 따 플랑크의 양자론처럼 남다른 시각을 가지고, 새로운 생각으로 늘 새롭게 도전하는 것을 지향하는 동아리이다.
2. 활동 내역 ✎ ⊖
2023년 | |
04.07 | 31기 기장, 부기장 선출 |
05.24 ~ 05.26 | 자연탐사 활동 |
08.15 | PLANCK 로고 제작 |
08.16 | 오픈 사이언스 스쿨 활동 |
11.11 | 스트롱 콘서트 활동 |
12.21 | R&E 발표회 |
2024년 | |
05.20 ~ 05.23 | 자연탐사 활동 |
2.1. 스트롱 콘서트 ✎ ⊖
- 음파 쉽게 이해하기
2.2. 자연탐사 ✎ ⊖
2023년
- 진흙의 열전도율 탐구
- 최적의 뻘배 개형 찾기
- 지면에 따른 충격파 파형 비교
- 딱좋은 방파제
- 파력발전기 제작 및 제주도의 최적의 파력발전 방식
- 정방폭포의 유량, 속도 측정을 통한 최적의 수력 발전 방법
- 배의 하단 형태에 따른 최적 속력 구조 탐구
2.3. R&E발표회 ✎ ⊖
2023년
- 가시광선 파장의 해석을 통한 시각의 청각화
- 인간비행기의 최적화 프로펠러
-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3. 수상 실적 ✎ ⊖
PLANCK의 수상 실적 | |||
대회 | 주제 | 수상 | |
2023년(1) | |||
자연탐사 | 진흙의 열전도율 탐구 | 은상 | |
R&E | 가시광선 파장의 해석을 통한 시각의 청각화 | 은상 | |
R&E | 인간비행기의 최적화 프로펠러 | 은상 | |
R&E |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 동상 | |
2024년 | |||
자연탐사 | 딱 좋은 방파제 | 동상 |
4. 첨단 기자재 ✎ ⊖
본 문단은 플랑크가 보유한 첨단 기자재에 대해 서술합니다. 해당하는 첨단 기자재들의 사용법에 대한 내용은 PLANCK/첨단 기자재 사용법을 참고하십시오.
4.1. 초고속 카메라 ✎ ⊖
엄청나게 느린 슬로우 모션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로, R&E에서 제일 많이 쓰이는 장비 중 하나이다. 중학생을 초청해 진행하는 첨단과학교실에서 물풍선을 터뜨리는 모습을 슬로우 모션으로 촬영해 보여준다. 촬영 시 매우 빠른 프레임 레이트로 인해 노출이 적으므로 필수적으로 밝은 조명을 사용하게 된다.-눈뽕을 조심하자-
4.2. 모션캡쳐 ✎ ⊖
물리학실험실 한 방을 통째로 사용하는 매우 큰 장비이다. 크로마키와 함께 세팅되어 있는데, 마커라 불리는 플라스틱 공의 움직임을 방 안에서 정확하게 측정해낼 수 있다. 마커가 부착된 수트쫄쫄이를 입으면 인체 관절의 움직임까지 측정할 수 있다.
4.3. 물성시험기 ✎ ⊖
소재의 인장 강도를 비롯한 다양한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기이다. 두 대가 있는데, 각각 10kN과 1kN의 최대 힘을 가해 시험에 활용할 수 있다. 측정 도구를 바꾸면 굽힘 강도 등을 비롯한 다양한 물성을 측정할 수 있지만, 재료역학을 디테일하게 다루는 연구를 하지 않는 이상은 대개 인장 강도 측정 정도에 사용한다.
4.4. 레이저 커터 ✎ ⊖
레이저를 사용해 판 형태의 재료를 정밀하게 커팅할 수 있는 장비이다. 가공 가능 크기가 상당히 큰 편이며, 출력과 이송 속도를 잘 조절하면 각인에도 사용할 수 있다.(2) 주로 아크릴 판이나 MDF를 자르는 데 사용한다. 별도의 단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성능이 떨어진다. 기존 용흥동 시절에 사용하던 커터가 있었으나, 고장으로 인해 학교 이전과 함께 더 큰 새 커터를 도입하게 되었다.
4.5. CNC 밀링머신 ✎ ⊖
간단한 3축 CNC 밀링머신이다. 화천 같은 메이커 장비는 아니며, 레이저 커터와 같은 국내 중소기업에서 제작한 장비이다. 가공 가능 크기는 800mm*800mm*150mm로 판재를 커팅하는 용도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실제로 컴퓨터에 기본으로 깔려 있는 프로그램도 2D 가공에 적합한 프로그램이다. 다만, 퓨전 360 등의 모델링 프로그램에서 내보낸 dxf 파일을 불러올 수 있어 복잡한 모양도 깎을 수 있다. 그러나 결국 퓨전 360의 CAM 기능을 통해 억지로 기계에 호환되는 Gcode를 만드는 방법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3차원 곡면 가공도 하려면 할 수 있게 되었다.그러니 그 사람이 졸업해 버리는 바람에 쓸 줄 아는 사람이 없어졌다 위 내용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사용하기 상당히 귀찮고 다소 위험할 수도 있는 장비이다. 연구활동에서 쓰이는 일은 잘 없다.
4.6. 3D 프린터 ✎ ⊖
연구활동에 제일 많이 쓰이는 장비 중 하나이다. 한 학년에 3D 모델링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몇 명씩 있는데, R&E 기간이 되면 이 사람들이 바빠진다. 연구에 필요한 실험 도구들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되며, 많은 사람들의 손을 타며 사용되는 만큼 고장이 잘 나는 장비이다. 원래는 신도리코 2X 프린터 8대와 300mm*300mm*600mm 대형 프린터 1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신도리코 프린터는 잦은 고장과 고치기가 너무 힘들어 못 써먹겠다는 학생들의 불만으로 인해 Flashforge 5M 프린터로 교체되었다.그리고 또 고장났다 대형 프린터는 노즐이 잘 막히는 문제가 있었는데, 노즐을 교체하는 방법 또한 해당 기술 보유자의 졸업과 함께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