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2. 용흥동 ✎ ⊖
탐구관과 급식실을 통해 물리적으로 이어져있는 형태이다. 하지만 급식실에서 입지관으로 가는 문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입지관을 가기 위해서는 건물 바깥으로 나가야 한다.
각 층에 자습실과 생활관이 함께 있으며, 공용 화장실과 샤워실이 복도에 있는 형태이다.
2층에는 방송실이 있으며, 방송실 뒤쪽 문을 열고 나가면 초록색 투명 지붕의 테라스가 있다. 크롬북 보관함도 2층 계단에 있다.
나머지는 30기와 그 위의 선배님들에게 부탁드립니다...
각 층에 자습실과 생활관이 함께 있으며, 공용 화장실과 샤워실이 복도에 있는 형태이다.
2층에는 방송실이 있으며, 방송실 뒤쪽 문을 열고 나가면 초록색 투명 지붕의 테라스가 있다. 크롬북 보관함도 2층 계단에 있다.
3. 지곡동 ✎ ⊖
지곡동으로 이전하면서 탐구관과 입지관이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었다. 다만, 정면에서 봤을 때 기준으로 급식실인 한울관은 입지관 바로 왼쪽에 붙어있는 구조이다.
1층에는 세탁실, 린넨실(건조기실), 장애인생활관, 사감실, 방송실, 공용 화장실, 자습실이 있다. 용흥동 입지관과 달리 전학년 남녀가 모두 오픈된 같은 공간에서 자습을 하게 되어 한 곳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반대편까지 다 들리게 되어 소란 시 피해 범위가 늘었다.
2층부터 4층까지는 생활관과 세탁실, 그리고 공용 화장실이 있다. 각 생활관 안에 독립된 화장실과 샤워실이 생기면서 공용 샤워실은 없어졌다. 각 층의 중앙과 동편에는 공용 냉장고가 각각 비치되어 있다.
1층에는 세탁실, 린넨실(건조기실), 장애인생활관, 사감실, 방송실, 공용 화장실, 자습실이 있다. 용흥동 입지관과 달리 전학년 남녀가 모두 오픈된 같은 공간에서 자습을 하게 되어 한 곳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반대편까지 다 들리게 되어 소란 시 피해 범위가 늘었다.
2층부터 4층까지는 생활관과 세탁실, 그리고 공용 화장실이 있다. 각 생활관 안에 독립된 화장실과 샤워실이 생기면서 공용 샤워실은 없어졌다. 각 층의 중앙과 동편에는 공용 냉장고가 각각 비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