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학년 내신 상위권 각 15%/15%(1) 중 B이하 등급의 과목 단위수 총합이 10단위 이하인 학생에게 부여되는 자격이다. 내신 상위권에 들지 않더라도 교내에서 진행되는 IQ 시험에서 140 이상이 나오고, 6개월 후 재시험에서 다시 140 이상이 나오면 조기졸업이 가능하다.
2. 조기졸업 ✎ ⊖
학년 내신 상위권 15% 이내의 조기졸업 요건 만족 시 부여되는 자격이다. 대학 합불에 무관하게 고등학교를 졸업하게 된다.
KAIST 2026학년도 학사과정 신입생 선발과정에서부터 조기졸업 학생은 Early Admission 전형에 지원이 불가능하다.
KAIST 2026학년도 학사과정 신입생 선발과정에서부터 조기졸업 학생은 Early Admission 전형에 지원이 불가능하다.
3. 조기진학 ✎ ⊖
정식 명칭은 '상급학교 조기입학'이며, 학년 내신 상위권 30% 이내의 조기진학 요건 만족 시 부여되는 자격이다. 조기진학의 경우 대학에 합격하여 입학이 확정되면 조기졸업으로 전환되어 정상적으로 졸업장을 받고 졸업하게 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다시 3학년 과정으로 환원되어 교과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조기진학을 통해 대학교에 입학한 경우 입학 후 대학교의 재학증명서를 제출해 진학을 고등학교 측에 입증한다.
조기진학 자격으로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지원이 불가능하며, KAIST 2026학년도 학사과정 신입생 선발과정에서부터 조기진학 학생은 Regular Admission 전형에 지원이 불가능해져, 조기진학 제도의 의미가 퇴색되었다.
조기진학 자격으로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지원이 불가능하며, KAIST 2026학년도 학사과정 신입생 선발과정에서부터 조기진학 학생은 Regular Admission 전형에 지원이 불가능해져, 조기진학 제도의 의미가 퇴색되었다.
4. 여담 ✎ ⊖
조졸조진 요건 만족 시 자동으로 자격이 부여되는 것은 아니고, 자격 부여를 위해 3학년 과정 과목으로 자격 부여 시험을 쳐야 한다. 한 과목이라도 기준 미달의 점수가 나올 경우에는 자격 부여가 안 되기 때문에 학생과 교사 모두 탈락하는 경우가 없도록 노력하는 편이다. 조기졸업의 경우 어쩌다 탈락하게 되더라도 조기진학 자격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나머지 한 번의 기회가 더 있지만, 조기진학의 경우는...
(1) 기존 20%/20%에서 2025학년도 신입생부터 축소되었다.